서울시가 ‘직원 상조’를 위해 계약한 상조전문업체에 정부 차원의 분향소 설치를 맡기고, 이 업체는 자체 유니폼을 입은 채 일하고 있어 물의를 빚고 있다. 2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이 결정됨에 따라 24일 각 시·도청 소재지에 분향소 1곳 이상을 설치하도록 협조 요청을 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이날 오후 서울역과 서울역사박물관에 분향소를 마련하면서 상조전문회사인 H업체에 설치 작업을 맡겼다. 의전은 정부와 서울시 공무원들이 주관했지만 이 업체 유니폼을 입은 직원들이 분향소를 설치하고 곳곳에서 조문객 안내 등을 돕고 있다. H업체는 서울시가 지난해 3월 전 직원의 장례 대행 계약을 한 곳으로, 계약 당시 언론 매체 등을 통해 서울시 장례 대행을 한다는 광고를 하지 못하도록 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서울시가 마련한 공식 분향소에 업체 유니폼을 입고 일을 하는 것은 ‘간접 광고’가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특히 이 업체는 업체 선정 기간 중에 공정위에 표시광고법, 방문판매법 위반 등으로 과징금과 시정명령 등을 받아 논란을 빚었다. 한 상조업체 관계자는 “서울시가 직원 상조를 위해 계약할 때도 공정위 적발을 알고도 이 업체를 선정했는데 이번엔 정부 분향소까지 맡겼다”며 “정부 분향소에서 업체 유니폼을 입으면 소비자들에게 간접광고 효과를 유발해 상조업체에 대한 제대로 된 판단을 못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분향소를 찾은 시민들도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회사원 김모(32)씨는 “회사가 근처라 조문하러 왔는데 상조업체 옷을 입은 사람들이 잔뜩 있어서 잘못 온 줄 알았다”며 “정부의 공식 분향소에 개별업체 옷을 입고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대학생 윤모(24·여)씨는 “정부가 마련한 대통령 분향소에서 상조업체 옷을 입어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이런 자리에서도 회사를 홍보해야 하는 지 씁쓸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원래는 공개경쟁을 통해 업체를 정해야 하지만 국민장이 결정되고 행안부에서 급히 분향소를 설치하라는 요청이 와 서둘러 설치하다보니 계약한 업체와 할 수밖에 없었다”며 “주관은 서울시와 공무원이 하고 상조업체는 도우미 성격만 있어 앞으로 유니폼은 입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