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승화원(벽제화장장)의 화장시간을 싹쓸이 예약한 상조업체 간부와 이를 대행한 아르바이트생이 경찰에 검거됐다. 고양경찰서는 9일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해 서울시립승화원의 화장시간을 예약한 혐의(업무방해)로 모 상조업체 간부 박모(42) 씨 등 2명과 아르바이트생 김모(24) 씨 등 2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해 8월부터 최근까지 60여 차례에 걸쳐 화장날짜와 시간을 예약해 다른 유족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업무를 방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화장장을 예약해 놓은 뒤 상조회원들의 날짜에 맞춰 사용하고 나머지는 취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상조업체는 아르바이트생에게 1건 당 3만-5만원을 주고 화장시간을 예약했다고 경찰은 전했다. 조사결과 이들은 주민번호만 있으면 사망자의 직계 존.비속 등 상주가 아니더라도 서울시립승화원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이 가능한 점을 악용해 예약과 취소를 반복했다. 경찰은 서울시립승화원의 예약.취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김 씨가 하루에 여러 건을 예약한 사실을 확인하고 김 씨를 추궁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
서울시설관리공단이 운영하는 벽제화장장의 인터넷 화장 예약 시스템이 상조업체(장사 대행업체)들의 `싹쓸이 예약" 창구로 악용돼 일반 시민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시가 부두완 시의원(한나라당.노원3)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이달 초까지 6개월간 서울시립승화원(벽제화장장)의 화장 예약 취소 건수는 5천298건이었다. 이는 하루 평균 28.48건이 취소됐다는 의미로, 하루 평균 화장 건수가 83건인 점을 감안하면 예약 취소율은 34%에 이른다. 부 의원은 "화장 장소나 장사 방법을 바꾸는 경우가 흔치 않은데 취소ㆍ변경 건수가 이렇게 많은 것은 장사 대행업체들이 화장시간을 `싹쓸이"로 예약해 놓았다가 수요자가 없으면 예약을 취소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부 의원은 "대행업체들이 대량으로 예약해 놓고 웃돈을 받고 넘기는 사례도 있다"며 "싹쓸이 예약으로 정작 화장 장소가 필요한 서울시민은 비용이 더 드는 다른 지역에 가서 화장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립승화원의 인터넷 화장 예약 시스템은 주민 번호만 있으면 사망자의 직계 존ㆍ비속 등 상주가 아니더라도 예약신청이 가능해 허술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행업체들은 이런 허점을 악용해 아르바이트생 등을 고용해 무차별적으로 예약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서울시설관리공단 장묘문화사업단은 "취소율이 높은 것은 수요와 공급 간에 불균형이 크기 때문"이라며 "선호하는 시간대가 다 다르고 일단 신청했다가 다른 지역을 구해서 취소하는 경우도 많다"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제공 |
▶"화장장 싹쓸이" 대책 마련, 업체 예약대행 금지 검토 상조회사 등 장사(葬事) 대행업체들이 서울시립승화원(벽제화장장) 예약을 선점해 일반인들이 화장 예약을 하기 어렵다는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서울시가 시스템 보완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서울시는 13일 "동일 IP 주소로 한달 동안 200여건을 예약한 것을 비롯, 1초 만에 8건을 예약한 경우 등 화장(火葬) 예약 과정에서 문제사례가 발견돼 시급히 개선책을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가 대책으로 준비 중인 것 중 하나는 예약을 취소할 때 불이익을 주는 것이다. 현재는 화장 예약 취소는 물론이고 예약한 뒤 이용하지 않아도 아무런 제재가 없다. 상조회사 등의 싹쓸이식 예약 선점 행태가 방치된 근본 원인이다. 시 관계자는 "(상조회사 등이) 화장시간을 선점해 놓고 수요자가 없으면 예약을 취소하는 바람에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어 "예약대행 금지" 등의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이와 함께 서초구 원지동 추모공원 건립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신면호 서울시 복지국장은 "화장장 공급 부족 문제도 심각하다"며 "하루속히 제2화장장을 만들어 시민 편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