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중원지역 최대 신라고분 발굴

 
- 중원지역 최대 신라고분 발굴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경주 지역을 제외하고는 6-7세기 신라시대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공동묘지 유적인 충주 누암리 고분군(사적 463호)에 대한 발굴조사가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재개됐다. 올해는 이 중 가-45호분과 가-50호분을 발굴조사했다. 사진은 가-45호분의 봉분 안에서 토기류가 무더기로 출토된 장면.
▶중원문화재硏, 충주 누암리고분 조사성과 공개
▶경주 지역을 제외하고는 6-7세기 신라시대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공동묘지 유적인 충주 누암리 고분군(사적 463호)에 대한 발굴조사가 본궤도에 올랐다.

 
- 가-45호분의 석실 안에서 토기류가 무더기로 출토된 장면.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는 최소 7개 구역에 걸쳐 중ㆍ대형급 석실분을 포함해 모두 230여기에 이르는 고분이 분포하는 곳으로 판명된 누암리 고분군 중 "가" 구역의 가장 큰 고분들인 가-45호분과 가-50호분을 발굴조사하고 그 성과를 25일 공개했다.

이 중 가-50호분은 지금까지 조사된 중원(충주) 지역 고분 중 규모가 가장 크고 위치 또한 주변 일대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자리라는 점에서 신분이 상당히 높은 사람이 묻힌 곳으로 추측된다.

조사 결과 이 고분은 봉분을 보호하기 위해 그 주위를 따라 가며 원형으로 쌓아 올린 돌무지인 호석렬(護石列)이 드러났다. 이를 기준으로 할 때 이 고분은 지름 17.6m에, 현존하는 봉분 높이는 5.5m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올해 조사된 가-45호분 석실 안쪽에서 연도를 바라본 모습.
시신을 매장한 무덤방인 석실(石室)은 봉분 중앙에서 약간 남쪽으로 치우친 곳에 만들었으며 외부에서 이곳으로 통하는 길인 "연도"를 별도로 마련한 횡혈식(橫穴式) 석실분으로 판명됐다. 유물은 대부분 도굴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봉분 지름 약 12.2m의 같은 횡혈식 석실분인 가-45호분은 도굴 구멍으로 인해 석실 천장 입구 일부가 파괴된 점을 제외하고는 보존상태가 상대적으로 온전해 중원 지역 신라고분의 축조 양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비록 도굴 피해를 보기는 했지만, 석실 내부와 봉토 내부에서 무수한 신라토기류가 수습됐다.

 
- 올해 가-45호분과 가-50호분을 발굴조사한 결과 출토된 신라토기류.
중원문화재연구소 황인오 연구실장은 "봉토 내부 출토 토기류는 당시 무덤을 축조하면서 제사를 지낸 흔적으로 생각된다"면서 "아울러 석실 안에 관을 놓았던 받침대인 시상(屍床)이 움직인 양상과 후대 토기가 함께 출토되는 점 등으로 볼 때, 처음 무덤이 축조될 당시를 포함해 총 4번에 이르는 매장 행위가 있었다고 추측된다"고 말했다.

이들 고분에서는 단각고배(短脚高杯ㆍ굽다리접시), 대부장경호(臺附長頸壺ㆍ항아리), 잔, 뚜껑, 인화문(印花文ㆍ도장무늬) 토기, 금귀걸이, 유리구슬 등 유물이 나왔다.

연구소는 이 유물들이 대체로 신라시대 후기(6-7세기)에 속하지만 가-45호분 석실 내부 바닥 출토 도장무늬를 장식한 토기 뚜껑은 상대적으로 다른 토기류보다 시대가 늦어 추가 매장이 이뤄졌음을 보여주는 흔적으로 보았다.
 
- 올해 조사된 이 중 가-45호분과 가-50호분
[연합뉴스] 제공


배너

포토뉴스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