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하남시가 인센티브로 받은 2000억원을 바탕으로 외자를 유치해 대형 아웃렛과 시네마파크 등 복합단지를 조성하려는 계획도 지원해 주기로 했다. 하남시는 이에 따라 시장소환의 빌미가 된 광역화장장 건립문제를 충분한 시간을 두고 주민들에게 홍보한 뒤 내년 4월 총선 이후 주민투표를 통해 화장장 유치 여부를 최종 결론짓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화장장과 관련한 주민투표를 하려면 총선 60일 이전인 2월 중순 이전까지 해야 하는데 일정상 힘들다.”면서 “그동안 주민들에게 충분히 홍보하고 대화를 통해 설득한 뒤 총선 이후 투표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하남시장은 광역화장장 유치를 추진하다 주민소환을 당해 두차례나 시장직무가 정지됐으며 최근 실시된 주민소환투표에서 소환부결로 시장직에 복귀했다. |
●투표율 31%… 유권자 3분의1 못미쳐 개표도 안해 ●김황식 경기도 하남시장과 시의원 3명 등 선출직 4명을 대상으로 12일 실시된 전국 첫 주민소환 투표에서 김 시장에 대한 투표율 미달로 소환이 무산됐다. 이에 따라 김 시장은 시장직을 유지하게 됐다. 하남시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하남시내 36개 투표구에서 진행된 주민소환 투표결과 투표권자 10만6435명 중 3만357명이 투표해 최종 투표율이 31.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주민소환법상 투표권자 총수의 3분의1(33.33%) 이상이 투표해 유효투효 총수의 과반수 찬성으로 소환이 확정되기 때문에 김 시장에 대한 소환투표는 투표율 미달로 부결됐다. 반면 소환대상 시의원 3명 중 가선거구인 유신목·임문택 시의원 2명은 투표율이 37.7%를 기록했고 소환찬성에 과반수를 넘어 주민소환됐다. 김 시장은 소환부결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가장 먼저 갈등과 분열로 상처받은 시민들의 가슴을 치유하고 하나로 통합하는 일을 하겠다”고 말했다. 소환운동을 촉발한 광역 화장장 유치문제에 대해서는 “주민투표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 주민소환투표로 재신임받은 것으로 생각하고 여론조사 등을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고 말해 추진의사를 밝혔다. 주민소환추진위원회측은 “시장 소환에는 실패했지만 30% 이상이 투표에 참여하고 시의원 2명을 소환해 절반의 승리를 거뒀다”며 “앞으로 계획은 없지만 우리는 독선, 오만 행정에 맞서 승리한 것”이라고 밝혔다. 하남시 주민소환투표는 지난해 10월 김 시장이 경기도 광역 화장장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것이 도화선이 됐다. 광역 화장장에 반대하는 주민들은 지난 5월 주민소환법이 발효되자 주민소환추진위를 결성, “김 시장과 그를 지지하는 시의원들이 광역 화장장 유치과정에서 독선과 졸속 행정을 보여주고 시민을 무시하고 기만하는 등 자질이 부족하다”며 주민소환운동을 벌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