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의원, 도내 시설확충 관련 국감 지적 ●부천 춘의동 화장장, 광명 종합장사시설, 하남 광역화장장 건립사업….주민들의 반발과 인접 지자체와의 갈등으로 차질을 빚고 있는 곳들이다. 또 경기도의 중재가 먹혀들지 않는 곳들이기도 하다. 도내 장사시설 확충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는 이유가 있었다.국회 행정자치위원회 이인영(통합신당·구리) 의원에 따르면 경기도가 늘어나는 화장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수립해야 할 중장기 수급계획을 갖추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도내 31개 시·군 중 자체 화장장을 갖춘 곳은 성남(15기)과 수원(9기)에 불과하며 용인과 부천은 후보지 선정을 계획하고 있지만 주민 반발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남시는 화장장 건립을 추진하다가 시장이 주민소환을 당하는 등 갈등을 빚고 있다. 그럼에도 주민 반발이 워낙 거세 지자체마다 뾰족한 대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의 뒤에는 종합적인 광역 계획이 없는 점이 가장 큰 이유로 꼽혔다. 경기도가 관련 법령(장사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중장기 수급계획을 수립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계획을 수립하지 않아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 경기도의 "시·도 묘지 등 수급계획"에 따라 기초단체가 작성하도록 되어 있는 "시·군·구 묘지 등 중장기 계획"도 거의 없거나 현실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남시가 지난 2004년 수립한 "하남시 묘지 등 수급계획"에는 "우리 시는 성남권으로 성남영생관리사업소(화장장)를 이용함"이라고 계획했다. 현재 문제가 된 광역화장장 건설은 중장기 계획에 들어있지도 않은 즉흥적인 사업인 것이다. 이인영 의원은 "경기도는 2003년에 외부기관에 의뢰한 도립 장사시설 조성사업 타당성 연구용역 보고서가 중장기 계획이라고 말하고 있다"며 "그나마 현재 화장장 설치계획이 용역보고서와 맞지도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문수 지사는 "화장장 문제는 우리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내년에 중장기 계획을 세워 주민들이 기피하지 않도록 인센티브를 주는 방향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