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상여와 회다지 소리

2012.11.27 12:54:19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의 유래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는 양주시 백석읍 고능말에서 전승되어 내려온 만가이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장례를 치르고 노래를 불러왔다. 중국고대기록 수서열전에 (고려:고구려편)"처음부터 끝까지 슬피우는데 장사를 지낼 때 북치고 음악을 하며 춤추며 이를 보낸다" 라는 기록이 있고 성종실록 228권 5월8일 "큰상에 유밀과를 성대히 차려놓고 영구 앞에서 절을 드리려는데 중과 속인을 크게 모아 잡희를 올리고 밤새도록 술을 마시고 노래를 하며 춤춘다고 합니다" 라는 기록과 동방민족은 장례를 치루며 가무를 곁들여 마치 축제를 벌이는것 같다고 한것으로 보아 이것은 아주 옛날부터 내려온 풍습인 것 같다.

이승에서의 죽음은 슬픔일 수 있지만 저승에서의 환생은 영원한 생명을 얻는 것이므로 기뻐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장례는 슬픔으로만 일관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나는 것에 대한 축복의 의식이 죽은 조상이나 산 자손에게 모두 복이 되는 일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민족은 죽음을 맞는 의식을 되도록 호상이 되게 하였던 것이며 이러한 목적이 상여를 화려하게 꾸미고 상여소리와 회다지소리를 정성껏 부르는 풍습도 낳았다고 할 것이다.

효와 전통의 고장 백석에 자리 잡은 양주상여와 회다지 보존회는 양주시 백석읍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장례의식요이다. 그 가운데 고릉말(고능말) 소리는 현재 상여와 회다지 소리의 근간이 되는 소리이다. 고릉말은 방성리에서 으뜸 되는 마을로 능이 있던 마을 혹은 능의 자리로 적합한 지역이라 하여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러한 지형적인 특성 때문인지 예전부터 이 지역에서는 빼어난 소리꾼이 많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양주에서 상여와 회다지 소리가 발달한 이유로 전승민들은 한양이 인접한 지리적 특성으로 말미암아 왕릉이 조성될 경우 부역갔던 사람들에 의해 장례절차나 소리의 전통이 전승되었을 것이라고 전한다.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는 소리의 다양성과 더불어 전승되는 동작들은 선인들의 슬기와 예술적 감각을 잘 나타내고 있다. 장례의 절차에 따른 소리의 다양성, 상두꾼들의 노동의 강도에 따른 소리의 분화는 선인들의 슬기를 였 보게 한며 회다지의 동작은 다른 지역과 변별되는 예술적 감각을 돋보이는 부분이다.

상여소리는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일명 만가, 향도가, 향두가, 행상소리, 회심곡, 옥설개, 설소리 등 지역에 따라 가창자마다 다양한 이칭으로 불린다. 발인제가 끝나고 상여행렬이 장지까지 가는 괴정에서 부르는 소리이다. 회다지소리는 장지에 도착한 상여 행렬이 관을 내리고 봉분을 다지는 과정에서 흙을 덮고 땅을 다지기 위해 달구질을 하며 부르는 소리이다. 회다지소리는 지역에 따라 달고소리, 달구소리, 달구질소리, 달귀소리, 달구노래, 달구질노래, 지지미노래 등 여러 이칭으로 쓰이는데 양주지역에서는 회다지소리 또는 달구소리라고 한다.

장지에 도착하여 시신을 매장할때 유해를 광중에 안치하고 흙과 횟가루를 섞어 분묘를 다지는데 이를 달구질이라고 한다. 특히 회다지소리는 사자를 장례하는 풍습중 수장이나 풍장, 화장 등에서는 볼 수 없는 매장을 중시하는 우리 고유의 장례 풍습에서만 찾아볼수 있는 의식요이다. 무덤을 사후의 가옥으로 인식하여 사자를 편안히 모시고자 하는 한국 장례문화의 핵심을 이루는 의식요라고 할수 있다. 상여소리 및 회다지소리는 죽은자에 대한 애도와 상여를 장지까지 운반하고 무덤을 만들기 위해 땅을 다지는 노동의 호흡을 고르고 흥을 돋우기 위한 노동요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는 무형문화재 제27-1호로 지정되어 있는 문화 자산이다. 150 여명이 넘는 회원들은 상조회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회원들은 오래된 전통을 이어가기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지금도 마을에 초상이 나면 실제로 장례 전반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생활문화로서의 전통 장례문화의 지킴이 노릇을 착실히 하고 있다.


어허 ~ 어 ~~ 헤 어러리 넘차 어 ·· 헤

1. 간다간다 떠나간다 이승길을 하직하고
만당같은 집을두고 문전옥답을 다버리고
부모처자 이별하고 저승으로 나는가네.

2. 이제까지 울넘어로 세상얘기 하던분이
자고나니 허망하게 베옷입고 꽃신신고
명정장포 앞세우고 황천길로 떠나가네.

3. 구사당에 하직하고 신사당에 허배하고
한번가면 못오는길 황천길이 웬말인가
(하 략)

[양주상여와회다지 보존회 제공]
 
 
뉴스관리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