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후 가족구조, 홀로44%, 생활비 스스로해결 58%

  • 등록 2015.05.01 15:16:16
크게보기

15년 후인 2030년 서울의 가족구조는 ‘1인 가구’가 대세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고령화로 60세 이상 가구주가 크게 늘어 2030년에 전체 가구 중 44%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4월 26일 발간한 ‘통계로 본 서울 가족구조 및 부양변화’ 자료에서 현재 서울에서 가장 흔한 가족구조는 부부와 미혼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로, 전체의 33.6%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1인 가구(27%), 부부(13.5%), 한부모(10.5%), 조부모와 손자녀(0.7%)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2030년엔 1인 가구가 30.1%, 2인 가구도 31.0%로 각각 늘어날 전망이다. 2000년 만해도 32.1%로 월등하게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4인 가구는 2015년 19.6%로 줄었고 2030년에는 12.7%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2030년 부부 가구는 17.9%, 한부모 가구는 11.2%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조부모와 부부, 미혼자녀 등 3대 이상이 함께 사는 가구는 2000년 7.4%에서 올해 5.4%로 줄었고, 2030년에는 4.6%로 감소할 전망이다. 1~2인 미니 가정으로 가족규모가 축소되는 현상은 늦은 결혼과 미혼ㆍ이혼ㆍ분거(별거) 증가와 저출산ㆍ고령화 등으로 인한 사회변화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가구를 실질적으로 대표하는 ‘가구주’ 연령도 고령화로 2030년에는 전체 가구 중 60세 이상이 44.4%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2000년만해도 가구주 주요 연령층은 30대 26.1%, 40대 27.2%로 30~40대가 전체의 53.3%를 차지했다. 2015년에는 60세 이상 가구주가 27.1%였다. 이 같은 인구와 가구 구성변화로 가구주 부모의 생활비를 부모 스스로 해결한다는 응답이 1998년 44.5%에서 2014년 58.2%로 증가했다. 노후를 자신이 책임진다는 비율이 높아진 것이다. 부모의 생활비 주제공자가 자녀라고 응답한 경우, 특히 장남이라는 응답은 1998년 23.5%에서 2014년 8.1%로 크게 줄었다. 대신 모든 자녀가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은 10.8%에서 22.4%로 증가했다. 자녀의 동거를 통한 부양이나 경제적 부양은 감소하는 반면, 교류는 더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로 사는 자녀와 부모와의 전화통화 횟수는 ‘한달에 한 두 번’에서 ‘일주일에 한두 번’으로 늘어나는 추세이고, 만남 주기도 ‘1년에 몇 번’ 보다 ‘한달에 한두 번’으로 늘고 있다.



1인가구 시대, 종합대책 절실


가장 주목되는 것은 1인가구 가운데 60대이상 노인가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올해의 경우 1인가구중 24세이하 23.7%. 25~40대가 23.4%였으나 60대이상은 37.3%%였다. 노인가구 비중은 15년후 38.1%로 증가할 전망이다. 1인가구 10가구중 4가구가 노인인 것이다. 평생 자식들을 위해 헌신해온 과거 또는 지금의 부모세대가 노후에는 홀로 살아가는 쓸쓸한 노후를 맞이하는 것이다. 자식들이 출가한 후 홀로 사는 것은 어쩔수 없는 일이다. 또 "자녀와 함께 살고 싶지 않다"거나 "자녀에게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살고 싶다"는 노인들(71.4%)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나홀로 노인가구가 늘어나는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우리나라 노인의 빈곤율이 48%로 세계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노인 2명중 거의 1명이 가난에 시달리고 있다. 빈곤율은 전체 노인인구중 중위소득 이하의 노인을 말한다. 이 때문에 노인 자살률도 세계1위라는 것이 통계청과 OECD의 공식 보고다. 제도적 문제도 있다. 2년전 경남 거제시의 78세 할머니가 음독자살한 적이 있다. 유서에는 기초생활지원금 지급을 중단한 것을 원망하는 글이 쓰여져 있었다. 지급중단 이유는 사위가 취직이 됐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할머니의 사위는 함께 살고 있지 않은 사실이 확인됐다. 현장 확인없이 서류상 동거한다는 이유로 기초생활비 지급을 중단한 것이다. 1인가구시대, 가난한 독거노인에 대한 대비책은 무상급식이나 무상보육보다 앞서는 미룰수 없는 시급한 과제로 다뤄야 할 문제다. 복지정책은 그래서 선택적 현장 맞춤형으로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아시아 투데이]

뉴스관리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