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산천에서 여유롭게, "마을산장례(里山葬)"

  • 등록 2018.10.21 10:52:13
크게보기

일본, 사찰장례와 동네산 화장후 수목장에 안치, 영구관리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어울리는 장례방법이 또 탄생하고 있다. 사찰이 주관하면서 화장과 수목장을 원스톱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비용절약과 영구관리까지 겸하여 안성맞춤 웰다잉시스템이다.

 

일본 진광사(真光寺, 치바현 우라시 소재)는 수목장을 선택한 진광사(真光寺) 불자 회원을 위한 장례형식으로 마을산장례(里山葬)“라는 오리지날 장례형식을 준비했다. 인생의 마지막을 자연으로 돌아가는 수목장, 그 마지막 작별을 사찰의 녹색공간에서 집행하는 것이다.

 


시대에 맞는 장례식               

 마을산장례'의 흐름은 임종후 우선 집 근처에서 화장하여 그 유골을 사찰에서 장례를 치르는 것이 특징. 고인을 먼저 다비식으로 화장하는 것으로서, 유족은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장례 일정 조정 등을 할 수 있으며 사망 당일 화장장에서 고인과의 작별을 제대로 실시한다.

 

창한 마을산에서 장례식             

도시의 소음에서 벗어나, 마을산의 초록에 둘러싸인 조용한 사찰을 장례식장으로 선택한다꽃들이 만발한 봄, 푸른 단풍의 여름, 별똥별의 가을, 그리고 산들이 잠든 겨울.... 사계절 마을산 자연의 변화가 장례식의 배경이다. 곧 자연의 순환의 일부가 되기로 결정한 사람들을 위한 석별의 잔치다.

 

간단하고 비용을 절약한 장례식              

장례식장에 설치하는 제단은 매우 간단하다.  배경이 되는 나무에 채색을 더한 헌화. 고인의 사진과 위패. 그것뿐이다. 큰 제단도 장식도 필요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장례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장례식 조문은 가족, 친척의 범위 내에서 초대하고 장례후 당일 납골법회를 실시한다.

 

장례식 의미의 소중함                       

장례식에서는 고인에게 부처님의 제자로서의 가르침을 전수하고 부처님의 세계로 안내하는 말을 전달한다. 고인이 시간을 초월한 자연의 운행 속으로 여행을 떠나가는 중요한 이정표다. 또한 가족에게 장례라는 의식을 확고하게 밟는 것으로, 일단락 할 수 있다. 유가족이 안심하고 평온하게 고인과 작별을 하기 위한 시간과 장소가 마을산장례라고 할 수 있다.

 

장례신탁 플랜               

독신으로 처음부터 혼자 사는 사람, 자녀가 없는 부부 등을 대상으로, 자신에게 만일의 임종이 닥쳐 올 때 병원에 달려가 시신의 인수, 장례, 납골 각종서류 처리, 자택의 정리 등 모든 절차를 생전에 위탁, 준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김동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