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심각한 묘지난에 화장 강요하려다 저항직면

  • 등록 2018.08.02 15:08:20
크게보기

심각한 묘지난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火葬) 문화를 강제보급하려는 중국 당국의 정책이 저항에 부닥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1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중국 장시(江西) 성은 올해 들어 매장(埋葬) 방식의 장례를 0%로 만든다는 목표 아래 성내 각 지역에서 주민들이 보관하고 있는 관을 사들이는 정책을 펴고 있다. 주민들이 자신의 향후 장례를 위해 보관한 관을 당국에 주면 그 대가로 2천 위안(약 33만원)의 보상금을 받는다. 이 정책에 따라 장시 성 내 가오안(高安) 시에서만 5천800개 이상의 관이 회수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정책에 저항하는 주민들도 적지 않다. 정부 보상금이 2천 위안으로 통상 관을 사는 데 드는 5천 위안보다 훨씬 적은 데다, 관을 사서 집에 보관해 두면 장수와 행운을 누릴 수 있다고 믿는 주민들이 많기 때문이다. 장시 성의 공무원들은 관 매입에 반대하는 주민들에는 강경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관을 강제로 압수하는 것은 물론, 극렬하게 저항하는 주민들 앞에서 관을 때려 부수는 일조차 서슴지 않는다. 심지어 지난 4월에는 화장 정책을 어기고 매장을 강행한 한 가족의 묘지를 찾아가 시신을 묘지에서 파내기까지 했다.

이러한 강압적인 정책에 중국 관영 매체까지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관영 매체인 인민일보는 사설에서 "이처럼 야만적인 조처를 할 필요가 있느냐"며 "주민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당국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드는 방식으로 장례 문화를 개혁하면 사회 불안을 불러올 수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 당국이 이처럼 강경하게 화장 정책을 고집하는 이유는 매장 선호 문화가 심각한 묘지 부족 사태를 불러온다는 인식 때문이다. 한해 1천만 명에 가까운 사람이 사망하는 중국에서는 묘지난으로 면적이 1㎡로 제한된 납골묘 가격마저도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고 있다.

중국에서 묘지가격이 가장 높은 상하이의 고급 납골묘 가격은 30만 위안(약 5천만원)에 달할 정도다. 중국 당국은 2020년까지 화장률 100%를 달성한다는 목표 아래 수목장(樹木葬), 화단장(花壇葬), 해장(海葬) 등의 친환경 장례를 보급하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중국인들의 뿌리 깊은 매장 선호 의식으로 중국의 화장 비율은 2005년 53%에서 2015년 47%로 되레 떨어졌다. 2014년에는 관을 압수하려는 당국 조치에 반발해 안후이(安徽) 성에서 노인 6명이 자살하기도 했다. [출처 : 연합뉴스]


김동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