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군 "씻김굿, 다시래기 등 상·장례 문화 복원"

  • 등록 2014.10.21 19:17:43
크게보기

전남 진도군이 씻김굿과 다시래기 등 전통의 상·장례문화 복원에 나선다. 진도군은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에서 공모한 2015년 창조지역사업에 '전통민속 상·장례문화 신 커뮤니티 만들기 사업'이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창조지역사업은 각 지역이 갖고 있는 자원을 특화 발전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지역위와 중앙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올 해는 전국 지자체에서 신청한 136개 사업 중 전국 21개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 전남지역에서는 영암과 곡성 등 3개 사업이 선정됐으며, 진도군은 이번 사업 선정으로 오는 2016년까지 3억6000만원의 국비를 지원받는다.


진도군은 지원받은 국비로 씻김굿 등 진도 전통의 상·장례문화를 복원하는 등 훼손된 지역문화를 되살리는 사업에 나설 방침이다. 지역내 242개 마을 상두계 정비를 통해 상·장례 기반을 마련하고 지산면 등 7개 읍면에서 연 12회에 걸쳐 씻김굿과 다시래기, 만가 등의 진도 상·장례를 연행할 예정이다. 특히 씻김굿 무구 만들기, 상여 메기, 유서쓰기, 입관 체험 등 진도 상·장례 주말 문화학교도 운영할 계획이다. 진도군 관계자는 "창조지역사업은 보배섬 진도군의 비교우위 자산을 활용한 사업들로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은 물론 삶터에 활력을 불어 넣어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진도군은 진도개 등 국가지정 유형문화재 11종, 전남도지정 17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진도 씻김굿 등 10종의 무형문화재와 18명의 예능보유자가 지정돼 있는 등 대한민국 군 단위 중 가장 많은 무형문화재가 있다.



씻김 굿    민간신앙의 하나. 전라남도 지방에서 행해지는 사자의례(死者儀禮)의 한 형식으로, 원령(怨

                   靈)의 한을 풀어서 저승으로 천도(遷度)시키는 기능을 한다. 씻김은 사령(死靈)의 신체(身體)모형을 만들어 무녀가 씻기는 것으로, 죽은 사람의 옷 한 벌을 초석(草席)에 늘어놓아 함께 묶은 것을 사체(死體)라고 상정(想定)하고, 이를 문지방 밖에 내놓고 무녀가 왼발꿈치로 밟고 서서, 다시는 집에 들어오지 말라는 내용의 축원을 한다. 그런 후 망인(亡人)을 뜰 안으로 내다 세우고, 그 위에 망인의 밥그릇에 쌀과 넋(魂)을 넣은 식기(食器)를 얹어 죽은 사람의 머리는 상정하게 한다. 그리고 그 위에 쇠솥뚜껑을 또 덮고 무녀가 빗자루 끝으로 청수(淸水)ㆍ쑥물ㆍ향(香)물의 차례로 신체를 씻긴다. 사람이 죽었을 때 하는 굿으로, 경기도 지방의 <자리걷이>, <지노귀굿>, <천금새남>, 서울의 <길가름>이 이와 같은 성격을 띤다.

뉴스관리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