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년전 미이라 사인밝힌 MDCT, 새삼 관심

  • 등록 2014.08.14 11:57:36
크게보기

<국과수> 유병언 사인만은 끝내 못 밝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가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사인을 '판명 불가'로 매듭지은 가운데 유 씨의 사인을 찾아내기 위해 동원한 MDCT 기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5일 국과수 원장은 서울 양천구 신월동 국과수 서울분원에서 공식브리핑을 갖고 유병언의 사망 원인을 판명하기 위해 독극물 분석과 질식사, 지병, 외력에 의한 사망 여부 등을 분석했으나 사체의 부패가 심해 사망 원인을 판명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국과수 측은 유병언 전 회장의 시신을 훼손하지 않은 채 사인을 밝혀내기 위해 혈관의 분포와 장기 상태를 3차원으로 세밀하게 촬영할 수 있는 다중채널컴퓨터단층촬영(MDCT) 기법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MDCT는 일반 컴퓨터단층촬영(CT)과 달리 64개에서 128개의 X선을 동시에 가동, 혈관 분포와 장기 상태를 3차원(3D)으로 세밀하게 촬영하는 장비다. 독일과 이집트의 연구팀은 지난 2010년 이 장비를 이용해 기원전 1352년에 사망한 이집트 파라오 투탕카멘 미라의 사인을 밝혀내기도 했다.


MDCT를 활용하면 시신 훼손 없이 초정밀 영상 부검이 가능하며 3D로 보존된 영상 정보는 장례 후에도 영상 증거로 활용할 수 있다. 이날 진행된 브리핑에서 국과수는 MDCT로 촬영한 유 전 회장 시신을 컴퓨터그래픽으로 공개했다. 영상을 통해 360도 각도에서 유 전 회장의 발견 당시 뼈와 근육을 공개한 결과 머리와 목 부분은 이미 알려진 대로 부패가 심해 뼈만 남았지만 근육은 상당 부분 남아 있었다.


국과수가 지난해 5억원을 들여 이 장비와 함께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과학적 기법을 총동원해 유병언 전 회장의 사인을 밝히는 데에 온 힘을 쏟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과수는 끝내 사인을 밝혀내지는 못했다. 국과수는 이날 늑연골, 무릎 연골 등 7개 부위에 대한DNA 분석 및 신원 확인을 마쳤다. 또 기존에 알려진 대로 왼쪽 둘째 손가락 끝 마디가 결손돼 있는 것과 넷째 손가락이 일부 변형된 것을 확인했다. 유 전 회장의 담당 의사로부터 입수한 크라운(금니) 등 치과 치료 정보와 시신의 치아 상태가 일치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관련 기사 -->  국과수, '다중검출 단층촬영장치(MDCT)' 시연회

                    http://www.memorialnews.net/news/article.html?no=4695


뉴스관리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