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조선의 마지막 궁중장식화, 97년만에 일반에 공개

.
대한제국 마지막 궁중 장식화가 97년 만에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됐다.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연수)은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 '창덕궁 희정당 벽화' 특별전을 통해 오늘(13일)부터 총석정절경도(叢石亭絶景圖)와 금강산만물초승경도(金剛山萬物肖勝景圖)를 선보인다. 1920년 제작되어 창덕궁 희정당 벽면을 장식했던 작품이다. 두 벽화 모두 구한말·일제강점기 유명 서화가였던 해강(海岡) 김규진(1868~1933)이 그렸다.

각각 강원도 통천 앞바다에서 바라본 총석정과 고성에 있는 외금강 기암괴석의 광활한 풍경을 담았다. 두 작품 모두 창호나 병풍에 주로 그렸던 기존 궁중 장식화와는 달리 비단 7폭을 이은 압도적 규모가 특징이다. 김연수 관장은 "세로 196㎝, 가로 883㎝에 달하는 크기는 한국 전통 회화사에서 전례를 찾기 어렵다"며 "금강산을 답사하고 실경(實景)을 그렸다는 점에서 전통 회화가 근대 화법의 영향 아래 변모해가는 과정을 드러낸다"고 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총석정절경도를 그리기 위해 김규진이 금강산을 답사하고 제작한 초본 '해금강총석도(海金岡叢石圖)'도 함께 공개한다.

.
희정당은 1917년 화재로 소실됐다. 1920년 복원 과정에서 서양식 실내 구조를 도입했고, 천장이 높아지면서 그림을 걸 공간이 생겼다. 벽에 직접 그림을 그린 것이 아니라 비단에 그림을 그려 종이에 배접(褙接)하고 벽에 붙였다. 김규진은 청나라에서 그림 유학을 했고 영친왕의 서화(書畵) 선생을 맡았다. 또 고종의 사진을 촬영한 사진가이기도 했다. 금강산 구룡폭포 바위에 새겨진 19m 크기 '미륵불' 각자(刻字)도 그의 작품이다.

희정당 벽화는 과거 궁중 장식화 소재로 잘 쓰이지 않았던 금강산이 새로운 주제로 등장했음을 알려준다. 1914년 경원선이 개통되면서 금강산이 대중적인 관광지로 떠올랐다는 시대적 맥락도 엿보인다. 벽화는 일반 출입이 금지됐던 창덕궁 희정당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훼손이 심해지면서 2015년 보존 처리를 시작했다. 벽화는 전시 후 고궁박물관에서 보관한다. 희정당에는 모사본을 걸어뒀다. 3월 4일까지. (02)3701-7643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