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자치주 연길시의 장례문화

2013.11.09 14:01:53

열악한 환경 대폭개선 희망

 
- 중국쪽에서 바라본 북한 땅
우리 조선족들이 다수 거주하는 연길을 처음 방문했다.
10여 년 전부터 말로만 많이 듣던 곳으로 예전과는 달리 엄청난 변화가 있다고 듣고 있는
터였다. 연길공항에 내려서부터 우선 말씨가 같고 한글이 널리 통용되고 있어서 외국이라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았다.

2박3일간의 빠듯한 일정에 많은 곳을 갈수가 없어서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도문을 찾았다. 사진에서만 보던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거기에 있었고 보초서는 군인의 감시 하에 한가운데 국경표시까지만 접근할 수 있었다.

강 건너 북한 땅의 건물들과 간간이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망원경을 통해 볼 수 있었다.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필요와 호기심이 존재하게 마련. 이곳도 예외는 아니어서 관광객을 상대로 하는 기념품점들이 닥지닥지 붙어 있었다.

북한 돈, 북한담배는 기본이었고 기타 우리로서는 쉽게 볼 수 없는 물품들이 진열되어 찾는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사람들은 차림새는 수수한데 인심이 순하고 떼 묻지 않은 면모가 보였다.
 
- 북한쪽에서 바라본 중국의 관문과 관광객들
 
- 아슬아슬하게 북한땅을 밟은 사람들(가운데 경계선이 보인다)
 
- 국경지역에 늘어선 기념품점들
연길도 개방이 된 이래 많은 주민들이 갖가지 명목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만나는 사람들의 상당수가 제주도 등 관광지를 잘 알고 있었고 또 연길시 재정의 대부분이 한국에 나와 벌어들이는 수입으로 충당된다고 한다.

주민들은 검소한 옷차림이 대부분으로 열심히 살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대신 먹는 것은 풍성했다. 보신탕이 이곳에서는 ‘개장국’으로 표현하고 있었는데 메뉴가 다양하고 우리 전통의 맛이 그대로 살아 있었다.

우리가 투숙한 호텔도 상당히 깔끔한 시설이었는데 숙박비는 우리나라의 절반 정도였다.제공하는 조식도 우리 식성에 맞아 반가웠다.

여기에도 동원참치 횟집이 있었는데 메뉴가 그렇게 보아서 그런지 우리나라보다 차림새나 맛이 우수한 것 같기도 했다. 차창을 통해 보이는 상점들은 모두 중국어와 한글이 동시에 표시되어 있었는데 이것은 조선족 자치주의 의무사항이라고 한다. 간간이 ‘이가자미용실’ 등 한국 업체가 어느새 진출한 모습이 보인다.
 
- 동원참치횟집에서의 풍성한 메뉴
 
- 연길장례식장 입구
 
- 살짝 들여다본 빈소의 모습
우리들의 방문목적은 연길시가 추진하는 장사시설과 부대 편의시설 개선을 통한 장례문화 발전책에 관해 현지 실정을 파악하고 당국자와 면담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길시가 운영하는 ‘연길빈의관’은 생각보다 단순하고 초라했다. 넓은 부지에 군데군데 건물이 섰는데 기본은 화장시설과 빈소였다. 말이 빈소이지 칸칸이 구분된 좁은 공간에 고인을 모신 관 앞에서 유족 몇몇이 모닥불을 피워 놓고 예를 올리고 있었는데 그마저 화장 순서를 기다리는 동안이었다. 건너편 건물 역시 좁게 구분된 접견실은 편의 시설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집에서 상을 당하면 우선 유족과 친척들이 모여 십시일반 각자 협조해야할 것을 정한 후 장의차를 불러 이곳으로 모시고 온다고 한다. 그렇다고 별다른 장례식이 있는 것이 아니고 화장순서를 기다리는 수준이었다.

빈소내부를 잠간 들여다보았더니 이곳에서 빌려주는 둥그런 조화를 세워놓고 간단한 제수를 차렸으며 유족들은 검은 옷에 흰 띠를 두른 차림으로 경건하게 예를 올리는 모습이 보였다.
이곳에는 커피 한잔, 담배 한 모금 해결할 편의 시설이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연길시에서는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조선족이 많이 사는 특성을 살려 한국식으로 장례를 치를 장례식장 시설과 각종 부대시설을 만들어 전통 한국식을 원하는 유족들의 바램을 충족시키고 나아가 각종 필요용품과 음식 및 기호품을 판매하여 매일 이곳을 찾는 수천명의 조문객을 대상으로 수익모델을 구축하자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위해 관련 공무원들이 2,3차례 한국의 장례식장을 견학도 했다고 한다. 또 낙후된 화장시설을 현대식으로 리모델링하여 다소비용을 받고 제대로 처리해 주는 방안을 빈장관리처(장묘사업소)에서도 구상을 하고 있었던 것 같았다.
 
- 화장장의 연기와 뒷쪽 공원묘지 전경(화장로가 설치된 본건물에서 나온 연기는 땅속을 통과하여 위 건물을 통해 배출된다)
 
- 묘지내 기념탑을 향하는 돌계단
 
- 연길빈장관리처(장묘사업소) 왕처장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에 대한 투자는 극도로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선입감을 가지고 있고 또 중국에서도 이를 잘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신뢰성 확보가 관건이었는데 이번에 우리의 방문 목적도 민간인이 아닌 시당국의 의향을 공식으로 확인하자는 것이었다.

그리고 사업 계약이 확실하게 신뢰성이 있어야 하고 이를 당국이 공식으로 인정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는데 이 모두가 비교적 만족스러운 답이 나왔다.

어쨌든 우리 동족이 많이 살고 있는 중국 연길에 우리 장례문화가 확산되고 동포들이 그리운 모국의 전통예식에 따라 인생을 마감할 수 있다면 사업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상당한 의미를 부여해도 좋을 것이다.
 
- 연길공원묘지 조감도
 
- 수리중인 공원묘지 입구 아취
 
- 공원묘지 최초 진입구
뉴스관리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