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자 대부분, 자살징후 사전에 드러내

2018.05.05 11:23:37

복지부, 심리부검(psychological autopsy)결과 발표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중앙심리부검센터(센터장 전홍진, 정신과 전문의)를 통해 실시한 심리부검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심리부검이란 자살사망자의 유가족 진술과 기록을 통해 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 및 변화를 확인하여 자살의 구체적인 원인을 검증하는 체계적인 조사 방법이다. 이번에 발표된 결과는 2015년부터 2017년도까지 3년 간 중앙심리부검센터로 신청의뢰된 자살사망자 289명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자살사망자 대부분(92.0%)은 사망 전 언어행동정서상태(죽고싶다, 주변정리, 우울·불안 등)의 변화를 통해 자살징후를 드러내는 경고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자살 유가족의 21.4%만이 고인의 사망 전에 경고신호를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인의 사망 전에 자살 경고신호를 인지한 유가족들도 어떻게 대응할지 몰라 자살의사를 확인하거나 전문가에게 연계하는 등 적절하게 대처한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자살사망자의 스트레스 요인은 정신건강 문제(87.5%) 가족관계(64.0%) 경제적 문제(60.9%) 직업관련 문제(53.6%) 순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자살사망자의 경제적 문제는 부채(71.0%), 수입감소(32.4%) 가 주요 유형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자살 경고신호와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스트레스 요인, 자살경고 신호 등은 연령대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자살 유가족 분석

 

중앙심리부검센터는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자살유가족 중 유가족 352명의 동의를 얻어 자살유가족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자살유가족은 고인의 배우자동거인(35.8%), 부모(26.4%) 자녀(2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가족 중 59.1%는 자살사고 발생 당시 사망자와 함께 거주하고 있었다. 자살유가족은 자살사건 발생 후 일상생활의 변화와 더불어 심리적정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족의 88.4%가 사별한 후 일상생활의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정서상의 변화, 대인관계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유가족 대부분(80.1%)이 우울감을 느꼈고 이 중 95(27.0%)은 심각한 우울증에 해당하였으며, 일부 유가족은 수면문제(36.4%) 및 음주문제(33.8%)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가족의 63.6%는 고인이 자살로 사망했다는 것을 사실대로 알리지 못한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 자살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나 상대방의 충격을 걱정하여 유족의 부모 및 조부모, 자녀 등 가까운 가족에게도 알리지 못 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심리부검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1월 수립하여 추진 중인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1.23.)을 더욱 촘촘히 살피고 충실히 시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을 보강하겠다고 밝혔는데, “자살예방 게이트 키퍼란 가족이나 친구, 이웃 등 주변인의 자살위험 신호를 신속하게 파악해서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훈련받은 자살예방 사업이다. 또한 주변의 지인에게도 자살사고 발생을 꺼리는 자살유가족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발굴지원하기 위하여, 자살유가족을 가장 먼저 접촉하는 경찰 등과 협조체계를 강화하기로 하였다. 경찰청(청장 이철성)은 전국 경찰관서(254)를 통해 자살사망 사건 수사 시 유가족에게 유가족 지원*, 복지서비스 안내 등이 담긴 홍보물을 제공하여 유가족 관련 지원 사항을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앞으로 자살유가족 발굴과 갑작스러운 가장의 자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 대한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중앙심리부검센터 전홍진 센터장은 가족·친구 등 주변 사람들이 이전과 다른 언어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를 보인다면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1577-0199) 및 정신의료기관 등 자살예방 전문기관에게 연결하여야 한다.”고 전했다. 또한, “주변의 관심을 통해 살릴 수 있는 생명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김동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