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랑스러운 경기도민에 김우규, 전통장례전수자

  • 등록 2017.07.14 13:28:19
크게보기

고양 상여ㆍ회다지 소리를 복원한 장례문화 계승자 김우규 씨와 한글 선화체를 개발한 서예가 김종태 씨, 한글로 세계평화지도를 제작해 UN에 기증한 세계평화작가 한한국 씨가 ‘제4회 경기도를 빛낸 자랑스러운 도민’에 선정됐다. 경기도는 지난 3월부터 경기도를 빛낸 자랑스러운 도민상 후보자 33명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친 선정위원회 검증을 거쳐 최종 3인을 선정했다. ‘경기도를 빛낸 자랑스러운 도민’은 경기도 발전을 위해 헌신한 도민을 예우하고 이들의 업적을 알리기 위한 표창으로 2011년부터 2년 주기로 선정해 왔다.

김우규(79)씨는 20년 동안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58호인 고양 상여ㆍ회다지 소리를 복원 보존한 공로로 선정됐다. 고령에도 불구하고 각종 행사에서 상여ㆍ회다지 소리를 공연하며 전통 장례문화 계승을 위해 노력해 온 김 씨는 2012년부터 위안부 기림일(8월 14일)에 광화문 광장과 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영령 진혼제를 진행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김 씨는 또 2010년 제151회 독일 비스바덴 카니발에 초청돼 경기도 전통문화를 국제사회에 알리기도 했다. 고양 상여ㆍ회다지 소리는 최근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7-4호로 지정됐다.

회다지소리는 장례 시 상여(喪輿)가 장지에 이르면 시신을 내려 금정(金井)에 하관한 뒤 흙과 회(灰)를 섞어 넣고 이를 굳게 다져서 천년유택을 만드는 과정에서 선소리꾼과 달구꾼이 함께 주고받는 소리이다.  고양상여 회다지소리는 김유봉(1725년생)이 부모님 장례시 행했던 상례 문화가 그 기원이다. 전승이 단절될 위기에 처해 있었으나 후손인 김성권(1867년생)이 그 맥을 복원했으며 고양상여소리보존회를 통해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다. 고양상여 회다지소리는 발인소리, 긴상여소리, 넘차소리, 염불소리, 회방아소리, 긴소리 등으로 구성돼 있다.
.



김혜성 기자 biz114@hanmail.net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