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김우규 전통장례전문가 근영]](http://www.memorialnews.net/data/photos/20170728/art_15000062364339_68e20b.jpg)
김우규(79)씨는 20년 동안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58호인 고양 상여ㆍ회다지 소리를 복원 보존한 공로로 선정됐다. 고령에도 불구하고 각종 행사에서 상여ㆍ회다지 소리를 공연하며 전통 장례문화 계승을 위해 노력해 온 김 씨는 2012년부터 위안부 기림일(8월 14일)에 광화문 광장과 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영령 진혼제를 진행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김 씨는 또 2010년 제151회 독일 비스바덴 카니발에 초청돼 경기도 전통문화를 국제사회에 알리기도 했다. 고양 상여ㆍ회다지 소리는 최근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7-4호로 지정됐다.
회다지소리는 장례 시 상여(喪輿)가 장지에 이르면 시신을 내려 금정(金井)에 하관한 뒤 흙과 회(灰)를 섞어 넣고 이를 굳게 다져서 천년유택을 만드는 과정에서 선소리꾼과 달구꾼이 함께 주고받는 소리이다. 고양상여 회다지소리는 김유봉(1725년생)이 부모님 장례시 행했던 상례 문화가 그 기원이다. 전승이 단절될 위기에 처해 있었으나 후손인 김성권(1867년생)이 그 맥을 복원했으며 고양상여소리보존회를 통해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다. 고양상여 회다지소리는 발인소리, 긴상여소리, 넘차소리, 염불소리, 회방아소리, 긴소리 등으로 구성돼 있다.
.
![[사진 : 고양상여 회다지소리 공연 모습]](http://www.memorialnews.net/data/photos/20170728/art_15000064162482_cbbd9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