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국가재난대비 지정장례식장' 선정을 위해 지난 2월부터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추천을 받고 있다. 국가재난대비 지정장례식장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세월호, 메르스 등 국가적 재난·감염사태 발생 시 사망자나 감염 시신 등에 대한 신속하고 안정적인 장례지원을 위해 추진됐다. 선정된 장례식장은 평상시에는 사설장례식장으로 운영되다가 해당 지역에서 재난·재해가 발생 시 거점 장례식장으로 활용된다. 재난발생시 지정장례식장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장례 시설, 용품, 인력, 방역 등을 지원받는다.
지정장례식장 선정은 각 지자체가 해당 지역 내 선정에 참여의사를 밝힌 장례식장을 대상으로 현장실사를 통해 배점이 매겨진 '세부지정기준 평가표'와 자치단체장 추천서 등 구비서류를 시·도를 거쳐 보건복지부에 전달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세부지정기준 평가표는 시신관리시설(65점), 인력구성(25점), 편의시설(10점) 등 크게 3가지로 분류돼 있다. 세부적으로는 염습실 설치 여부, 안치능력, 빈소설치 유무, 염습가능 인력, 상담실 개별설치 여부 등 15가지 항목을 우수, 보통, 미흡 등으로 평가한다.

안양시의 이런 해명과 달리 수원시의 경우 장사시설 관련 담당 공무원이 직접 현장실사를 진행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현장평가를 셀프로 하면 굳이 현장평가를 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며 "장례식장이 직접 평가를 하면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돼 문제가 될 여지가 크다"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도 추천 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확인 결과 셀프 평가가 확인되면 지정 취소하겠다는 입장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평가표 작성은 해당 지자체의 담당 공무원이 직접 현장에 나가 진행돼야 한다"며 "사실여부를 확인해 지정장례식장 선정 심사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내 시·군 27곳에서 총 40개의 장례식장이 보건복지부에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건복지부는 국가재난대비 지정장례식장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장례문화진흥원과 지정 교육기관으로 하여금 국가적 재난·감염사태 발생 시 사망자·감염시신 등에 대한 원활하고 안정적인 장례지원, 지정장례식장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운영으로 유사 시 재난현장 장례지원에 효율적으로 대응 등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문서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