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ㆍ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환자가 직접 참여한 ‘의료서비스 환자경험’ 평가결과를 10일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처음으로 공개한다. 환자경험평가는 환자 관점으로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병원 평가다. 미국ㆍ영국ㆍ네덜란드 등 여러 국가에서는 환자가 체감하는 의료 질 향상을 위해 200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환자경험평가를 시행해왔다. 이번 평가는 국내 500병상 이상 상급종합ㆍ종합병원 92곳이 대상이 됐다. 대상 병원에 하루 이상 입원했던 성인 환자 1만4970명에게 지난해 7월~11월 전화로 설문 조사했다. 조사는 환자별로 퇴원 뒤 2일~56일 이내에 시행됐다. 조사 항목은 의사ㆍ간호사의 서비스, 투약 및 치료과정, 병원환경, 환자권리보장, 전반적평가 등 6개다.
.
환자들이 평가한 의료서비스 종합 1위는 중앙대병원(91.06점/100점 만점)이 차지했다. 이어 국립암센터-인하대병원-서울성모병원-원광대병원 순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충남 백제병원은 92개 병원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고 평촌 한림대성심병원, 목포한국병원, 문경제일병원, 대전 건양대병원 순으로 나쁜 평가를 받았다. 서울대병원이 의사의 태도ㆍ소통 분야에서 낙제점을 받았다.

의사 서비스, 즉 환자를 대하는 태도(존중ㆍ예의, 경청)와 의사와 환자 간 소통(만날 기회와 회진시간에 대한 정보제공)에 대한 평가 4개 문항에서는 서울시보라매병원이 92위로 나타났다. 한림대성심병원, 일산백병원, 건양대병원, 길병원, 서울대병원, 목포한국병원, 부산대병원, 동국대일산불교병원, 한양대구리병원 순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빅 5’로 불리는 국내 5대 대형병원 가운데는 서울대병원이 유일하게 하위 10위 안에 포함됐다.
평가 대상 92개 병원 전반적으로 봤을 때 환자들이 평가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전체 입원경험 수준은 83.9점이었다. 간호사 서비스 영역은 88.8점으로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사서비스 영역은 82.3점으로 투약 및 치료과정과 함께 타 영역에 비해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의사서비스 중 환자를 대하는 태도 2개 문항은 88.8점으로 높은 수준이었지만 의사를 만나 이야기 할 기회는 74.6점, 회진시간에 대한 정보제공은 77.0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치료과정에서 의료진에게 위로와 공감을 받았는지 여부를 묻는 문항은 78.2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환자권리보장 영역 중 불만을 쉽게 말할 수 있었는지는 73.0점으로 설문 전체 문항에서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